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깨침과 설법(說法)이 없음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 如來有所說法耶?
須菩提言。 如我解佛所說義, 無有定法。 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 亦無有定法, 如來可說。 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取, 不可說, 非法, 非非法。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而有差別。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었는가? 여래가 설한 법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제가 부처님 께서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기로는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할 만한 정해진 법(法)이 없고, 또한 여래께서 설한 단정적인 법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한 법은 모두 얻을 수도 없고 설할 수도 없으며, 법도 아니고 법 아님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모든 성현들이 다 무위법(無爲法) 속에서 차이가 있는 까닭입니다.”
이미 이 전 장(6장)에서 부처님께서는 수보리에게 이 법을 내려놓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가르침도, 그 어떠한 규칙이나 종교에 대한 모든 것을 말입니다. 그러하니 불법(佛法)이 아닌 것은 더 지체 없이 내려놓아야겠습니다. 뗏목처럼 즉시 버리고 가야합니다. 불법도 버리고, 금강경도 버리고, ‘나, 나의, 나를’도 버리고, 모두 다 버리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매우 흥미로운 점은 수보리가 ‘공(空)’함에 아직 집착해 있던 것입니다. 모든 것이 다 공하다는 것에 말이죠. 아누다라삼먁삼보리 말입니다. 깨달음이라는 뜻입니다. 사실 수 없이 많은 종류의 깨달음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다 매일 깨닫는 경험을 합니다. 눈과 코와 입과 귀와 마음이 열렸을 때 많은 종류의 깨달음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꿈에서 깨면 실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런 경험도 일종의 작은 깨달음입니다.
매우 흥미롭죠? 여기서 말하는 아누다라삼먁삼보리는 바로 그 많은 깨달음 중 가장 으뜸의 최상의 깨달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수보리에게 질문을 합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떤가? 내가 깨달음을 얻었다고 할 때 그 ‘어떤 것’을 얻었다고 할 수 있겠는가? 그 어떤 ‘무엇’을 얻었다고 할 수 있는가?”
요즘 서양에서 선(禪)을 공부하는 학생들도 종종 스승의 깨달음을 평가하곤 하는데요. 영어로도 “아~ 저 분은 깨달음을 얻은 분이야”라고 말합니다. 흥미롭게도 영문에서도 이런 말을 씁니다. “저 사람이 뭔가 얻었다고요.” 그리고 저분이 진정 깨달음을 얻었는지에 대해서 평가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난 어떠한 무언가 ‘얻는 것’이 없다.”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깨달음이라는 것은 그 뭔가 특별한 것을 얻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 질문을 하신 것입니다.
우리는 구름에 대해서 얘기합니다. 저건 구름이라고 말이죠. 우리가 어렸을 적에는 구름이 호랑이 같다고 하기도 하고, 코끼리, 돼지, 새 같이 생겼다고 말하잖아요. 땅에서 봤을 때는 저 구름이 실제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어른이 되어서 비행기를 타고 구름을 지나가면 그렇지 않음을 깨닫게 됩니다. 제가 어렸을 적에 구름을 통과하는 비행기를 보고 굉장히 놀랐던 적이 있었어요. “와~ 비행기가 구름 안에 있다~” “어쩌면 비행기가 구름 속에서는 귀엽게 생겼을지도 모르겠다. 구름 속에서 비행기는 어떻게 생겼을까? 저 구름이 어떤 큰 방 같은 것일까?” 그런데 나중에 비행기를 타고 구름을 지나가보니 아무것도 없더라고요. 단지 증발한 물이 잠시 모여 있던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깨닫기 전에는 구름이 실제로 있다고 생각하지만, 깨달음이라는 것은 이 구름이 사실 본래 공하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불교식으로 말하면 이 ‘공한’ 구름이 진짜 구름인 것입니다. ‘깨달음’이라는 것이 따로 없다는 것을 아는 것이 진짜 깨달음인 것처럼 말이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깨달음이라는 것은 뭔가 대단하고 특별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부처님께서는 여기서 그 생각에 일타를 날리신 것입니다.
부처도 그 ‘어떤 것’이 아니고, 깨달음도 그 ‘어떤 것’이 아닙니다. 만약 그 어떤 것이라고 말한다면, 그건 진정한 깨달음이 아닙니다. 제가 들었던 그 어떤 가르침보다도 제 스승님께서 이 점을 잘 표현해 주셨습니다. 어떤 사람이 스승님께 이런 질문을 드렸었습니다. “선사님의 깨달음 이전과 이후는 어떻게 다릅니까?” 라고 물었는데, 선사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깨달음을 얻기 전에는 하늘이 파랗고 나무는 초록이었는데, 사실 깨닫고 보니 실제로 하늘이 파랗고 나무는 초록색이더라!”라고요. 아주 쉽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여기 이 내용을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숭산 선사님의 가르침을 잘 새겨들어 보십시오.
깨달음이 뭐냐구요? 바로 이 선풍기 바람입니다. 이 피아노 소리입니다. 제 볼에 느껴지는 바람입니다. 이게 전부입니다. 여기 앉아서 여러분께 말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없습니다. 그 어떤 것이 아닙니다. 차별된 특별한 무엇이 아닙니다. “바로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바로 이것뿐입니다. 아주 쉽습니다. 그럼 제8장으로 넘어가겠습니다.
https://yoonhaehwan.tistory.com/21
'☸️ 불교 > 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0) | 2023.01.23 |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0) | 2023.01.23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Part 2 (0) | 2023.01.22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Part 1 (0) | 2023.01.22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0) | 202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