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강경 의미10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관념(觀念)과 그 관념의 부정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能作是念, 『我得須陀洹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洹名為入流, 而無所入, 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須菩提, 於意云何? 斯陀含能作是念, 『我得斯陀含果』不?」 須菩提言。「不也, 世尊。 何以故, 斯陀含名一往來, 而實無往來, 是名斯陀含。」 「須菩提, 於意云何? 阿那含能作是念, 『我得阿那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阿那含名為不來, 而實無不來, 是故名阿那含。」 「須菩提, 於意云何? 阿羅漢能作是念, 『我得阿羅漢道』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實無有法名阿羅漢。世尊, 若阿羅漢作是念, 『我得阿羅漢道』, 即為著我人衆生壽者。 世尊, 佛說我得無諍三昧, 人中最為第一, 是第一離欲阿.. 2023. 1. 23.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부처와 깨달음의 어머니, 『금강경』 須菩提, 於意云何? 若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以用布施, 是人所得福德寧爲多不? 須菩提言。 甚多, 世尊。 何以故, 是福德, 即非福德性, 是故如來說福德多。 若復有人, 於此經中 受持, 乃至四句偈等, 爲他人說, 其福勝彼。 何以故, 須菩提, 一切諸佛, 及諸佛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 皆從此經出。須菩提, 所謂佛法者, 即非佛法。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에 칠보(七寶)를 가득 채워 보시한다면 이 사람의 복덕이 진정 많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이 복덕은 바로 복덕의 본질이 아닌 까닭에 여래께서는 복덕이 많다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의 사구게(.. 2023. 1. 23.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깨침과 설법(說法)이 없음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 如來有所說法耶? 須菩提言。 如我解佛所說義, 無有定法。 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 亦無有定法, 如來可說。 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取, 不可說, 非法, 非非法。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而有差別。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었는가? 여래가 설한 법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제가 부처님 께서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기로는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할 만한 정해진 법(法)이 없고, 또한 여래께서 설한 단정적인 법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한 법은 모두 얻을 수도 없고 설할 수도 없으며, 법도 아니고 법 아님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모든 .. 2023. 1. 23.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Part 2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여래의 참모습 須菩提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得聞如是言說章句, 生實信不? 佛告須菩提。 莫作是說。 如來滅後, 後五百歲, 有持戒修福者, 於此章句, 能生信心, 以此爲實。 當知。 是人, 不於一佛二佛三四五佛而種善根, 已於無量千萬佛所種諸善根, 聞是章句, 乃至一念生淨信者。 須菩提, 如來悉知悉見, 是諸衆生得如是無量福德。 何以故, 是諸衆生無復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無法相, 亦無非法相。 何以故, 是諸衆生若心取相, 則爲著我, 人, 衆生, 壽者。 若取法相, 即著我, 人, 衆生, 壽者。 何以故, 若取非法相, 即著我, 人, 衆生, 壽者。 是故不應取法, 不應取非法。 以是義故, 如來常說, 『汝等比丘,知我說法,如筏喩者。』 法尚應捨,何況非法。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세존이시여! 이와 .. 2023. 1. 22.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Part 1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여래의 참모습 須菩提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得聞如是言說章句, 生實信不? 佛告須菩提。 莫作是說。 如來滅後, 後五百歲, 有持戒修福者, 於此章句, 能生信心, 以此爲實。 當知。 是人, 不於一佛二佛三四五佛而種善根, 已於無量千萬佛所種諸善根, 聞是章句, 乃至一念生淨信者。 須菩提, 如來悉知悉見, 是諸衆生得如是無量福德。 何以故, 是諸衆生無復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無法相, 亦無非法相。 何以故, 是諸衆生若心取相, 則爲著我, 人, 衆生, 壽者。 若取法相, 即著我, 人, 衆生, 壽者。 何以故, 若取非法相, 即著我, 人, 衆生, 壽者。 是故不應取法, 不應取非法。 以是義故, 如來常說, 『汝等比丘,知我說法,如筏喩者。』 法尚應捨,何況非法。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세존이시여! 이와 .. 2023. 1. 22.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 여래의 참모습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身相見如來不? 不也,世尊。 不可以身相得見如來。何以故, 如來所說身相, 即非身相。 佛告須菩提, 「凡所有相,皆是虛妄。若見諸相非相,則見如來。」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여래라고 볼 수 있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여래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신체적 특징은 바로 신체적 특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신체적 특징들은 모두 헛된 것이니, 신체적 특징이 신체적 특징 아님을 본다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제5장입니다. “여래를 바로 보라”입니다. 진리를 바로 이해하라는 말씀입니다. 이 장이 금강경에서 설법 중에 가장 핵심인 부.. 2023. 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