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사구게2 [불경 사구게]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열반경 사구게 모음 (일체유심조) 사구게란 무엇인가? 사구게(四句偈)란 4구로 된 게문을 뜻한다. 범어로는 슬로카(sloka)라고 부르며, 고대 인도 시의 한 형식을 칭한다. 사구게는 4개의 구절로 형성된 시이다. 하나의 구(句)는 8개의 음절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구게는 총 32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게(偈)란 불교의 교리를 짧은 시구 형식으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이는 범어 가타(gatha)를 음차 한 것으로, 이를 해석하면 송(頌)이 된다. 그러므로 보통 이를 게송(偈頌)이라고 표현한다. 대승 불교의 경전인 금강경, 법화경, 열반경, 화엄경에는 여러 사구게가 존재한다. 이런 사구게는 운율 형식이 탁월하여 불자들이 숙지하고 암기하기 편하다. 특히나 『금강경』에는 '이 경 가운데 사구게만이라도 항상 잊지 않고 마음에 새겨, .. 2023. 2. 21. 금강경 사구게 한글 해석 및 해설 (응무소주 이생기심) 금강경은 무엇인가? 개요 우선 금강경 사구게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금강경의 대략적인 정의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강경, 혹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은 대승 불교의 한 경전입니다.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교세가 큰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쉽게 말해 가장 중요시 되는 경전)입니다. 반야부에 속하며, 대승불교의 가상 핵심적인 공(空) 사상을 설파하고 있는 경입니다. 제목 해설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금강'은 산스크리트어(혹은 범어) 와즈라체디까(Vajracchedikā)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와즈라(Vajra)와 같이 강한 힘으로 절단하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반야바라밀'은 산스크리트어 쁘라갸빠라미따(Prajñāpāramitā)를 음역한 것으로, '깨달음을 이끄는 지혜'를 가르킵니다. 결국 금강반야바.. 2023. 2.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