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肉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肉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天眼不?」 「如是,世尊。如來有天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慧眼不?」 「如是,世尊。 如來有慧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法眼不?」 「如是,世尊。如來有法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有佛眼不?」 「如是,世尊。 如來有佛眼。」 「須菩提, 於意云何? 如恒河中所有沙, 佛說是沙不?」 「如是,世尊。 如來說是沙。」 「須菩提, 於意云何? 如一恒河中所有沙, 有如是沙等恒河, 是諸恒河所有沙數, 佛世界如是, 寧為多不?」 「甚多,世尊。」 佛告須菩提。 「爾所國土中, 所有衆生, 若干種心, 如來悉知。 何以故, 如來說, 諸心皆為非心, 是名為心。 所以者何? 須菩提, 過去心不可得, 現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육안(肉眼)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육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천안(天眼)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혜안(慧眼)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혜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법안(法 眼)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법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에게 불안(佛眼)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불안(佛眼)이 있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는 항하의 모래에 대해서 설하였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이 모래에 대해 설하셨습니다.”
“수 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한 항하의 모래와 같이 이런 모래만큼의 항하가 있고 이 여러 항하의 모래 수만큼 부처님 세계가 그만큼 있다면 진정 많다고 하겠는가?”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 국토에 있는 중생의 여러 가지 마음(心)을 여래는 다 안다. 왜냐하면 여래는 여러 가지 마음이 모두 다 마음이 아니라 설하였으므로 마음이라 말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수보리여!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는 까닭이다.”
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 분별 없이 관찰함
이 금강경은 정말 명료합니다. 네, 어렵지도 그렇다고 그리 간단하지도 않지만, 정말 분명합니다. 바로 이 순간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인류의 종교 역사에서 가장 파격적인 가르침입니다.
자, 아주 쉽습니다. 여러 가지 종류의 눈이 있습니다. 다섯 종류의 눈이라고도 하는데요. 사실 별 상관은 없습니다. 관세음보살, 자연을 그대로 보는 눈을 뜻합니다. “부처는 인간의 눈을 가지고 있는가?” 부처님은 인간의 눈을 가지고 계십니까? 아주 재밌네요. 부처도 인간의 눈(육안)을 가지고 있군요. 다 보셨잖아요? “저 불상은 무슨 색깔입니까?” “무슨 색이요?” “더 크게요~” “저 불상은 무슨 색이죠?” “무슨 색이죠?” “금색요~.” 불상은 금색이죠? 그러니까 부처님은 인간의 눈을 가지고 계시네요. 아주 쉽죠? 금색을 보셨잖아요.
자 다음입니다. “여래에게는 천안이 있는가?” 신의 Divine이란 대단한 것이 아니라 형상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눈이라는 뜻이죠. 명상을 많이 하시면 얻을 수 있는 눈입니다. 저 겉모습만이 아니라, 생각들까지 모두 볼 수 있는 눈을 말합니다. “네 여래께선 천안이 있으십니다. 여래는 지혜의 눈을 가지고 있는가?” 공함을 아는 눈을 말합니다. 공함을 보는 눈입니다. “네 여래께서는 공함을 관하십니다. 그럼 여래는 법안이 있는가?” 법안이란 중생을 자유롭게 할 줄 아는 눈입니다. 중생을 제도시키는 지혜의 눈입니다. 보살의 눈이지요. “네, 여래께서는 법안, 중생을 제도시키는 눈을 가지고 계십니다.” 마지막으로요. “여래에게 불안이 있는가?” 이 뜻은 불 이를 뜻합니다. 둘이 아니라는 뜻이죠. 그것은 ‘탕~’ 어떤 사람은 허~ 하고 고개를 드시네요. “네 여래께서는 그 불안을 가지고 계십니다.” 아주 명료합니다. 다 한 가지 뜻입니다. 똑같은 눈이지요. 실상을 관할 줄 아는 눈입니다.
그런데 만약 마음을 비우면 보이지만, 마음에 복잡하면, 생각을 따라가고, 의견에 집착하고, 화, 욕망, 무지, 공포, 불안, 질투하는 마음이 일어나면 실상을 바로 볼 수가 없습니다. 저 벨소리 들리시죠? 저 소리를 듣는 바로 그것입니다. 그 귀가 당신의 인간의 귀이자 부처의 귀입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갠지스 강의 모래에 대해서 내가 가르친 적이 있는가?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모래에 대해서 가르치신 적이 있습니다.” “그래 맞다.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갠지스 강의 모든 모래 수만큼의 갠지스 강이 있고, 이 모든 갠지스 강의 모래 수만큼 부처의 세계가 있다면, 정말 그 수가 많지 않겠는가?” “아주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러자 부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대가 생각하는 모든 국토에 사는 모든 중생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는 모두 알고 있다. 왜냐하면 여래가 말한 모든 마음은 마음이 아니라 단지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여, 과거의 마음은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에도 머물러 있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붙잡을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이 말이 무슨 뜻이냐고요? ‘탕’ 오, 고개를 딱 드시네요. 바로 이 뜻입니다. 오, 너무 어려워요? 지금 이 순간으로 돌아가라는 것뿐입니다. 아무 형체 없는 바로 이 순간으로요. 이 순간만이 바로 여러분의 삶이니까요. 보고 듣고 말하고 느끼는 바로 이 순간입니다. 이 경험을 마음, 의식, 부처, 여래, 타타가타[여래], 어떤 이름으로 표현하든 상관없습니다. 그러니까, 과거의 마음도 붙잡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붙잡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붙잡을 수 없습니다. 오직 지금! ‘탕~’ 이렇게 들릴 뿐입니다. 바로 이렇게요. ‘크 크음~’ 이렇게요. 지금 경험하는 바로 이것이 여러분의 삶입니다. 너무 단순한 겁니다. 모두가 다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고 생각하지만요. 특별한 방법이나, 특별한 지혜, 특별한 경험, 또는 특별한 깨달음이 있다고 말이죠. 또는 특별한 진리나, 신이 나, 부처가 저기 멀리에 있다고, 또는 나중에 나타날 거라고 말이죠.
그런데 이 파격적인 법문은 오직 지금 이 순간으로 돌아오라고 합니다. 이 순간은 시간과 공간을 이미 초월해 있으니, 여기서 살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여래입니다. 바로 여래입니다. 바로 여기! 지금 이 순간!입니다. (밖에서 음악소리가 흘러 들어온다) 짝~ 짝~ [박수소리, 합창소리] 바로 이 경험이요. 이것이 바로 여래지요. 아직도 이해가 안 가시는 분이 계십니다. 걱정 마십시오. 지금까지 읽은 내용 다 잊어버리십시오. 그냥 다시 이 순간으로 돌아오시면 됩니다. 이 경전은 단지 과거도 아니고, 현재도 아니고, 발 이 순간으로.
(목탁소리가 들린다) 탁 탁 탁 탁~ 이 경험이요. 적게 얘기할수록 더 완벽하지요. 탁 탁 탁….. 굉장히 간단합니다. 여러분이 이렇게만 사실 수 있으면, 지금 목탁 소리를 듣듯이 자유인입니다. 이것이 바로 여래입니다. 여래불입니다. 이와 같이 오는 부처입니다.
https://yoonhaehwan.tistory.com/37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9. 법계통화분(一體同觀分)
「須菩提, 於意云何? 若有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以是因緣, 得福多不?」 「如是, 世尊。 此人以是因緣, 得福甚多。」 「須菩提, 若福德有實, 如來不說, 得福德多, 以福德無故, 如
yoonhaehwan.tistory.com
'☸️ 불교 > 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20.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0) | 2023.01.29 |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9. 법계통화분(一體同觀分) (0) | 2023.01.28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Part 2 (0) | 2023.01.27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Part 1 (0) | 2023.01.27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