爾時, 須菩提白佛言。 「世尊, 善男子, 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 佛告須菩提。 「善男子, 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 當生如是心。 我應滅度一切衆生, 滅度一切衆生已, 而無有一衆生實滅度者。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有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 則非菩薩。 所以者何? 須菩提, 實無有法,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於燃燈佛所, 有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 」 「不也,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佛於燃燈佛所, 無有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佛言。 「如是,如是。 須菩提, 實無有法, 如來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若有法, 如來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 燃燈佛則不與我授記, 『汝於來世,當得作佛,號釋迦牟尼。』 以實無有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是故燃燈佛與我授記,作是言 『汝於來世,當得作佛,號釋迦牟尼。』 何以故, 如來者, 即諸法如義。 若有人言, 『如來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實無有法, 佛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如來所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於是中無實無虛。 是故, 如來說, 一切法皆是佛法。 須菩提, 所言, 一切法者, 即非一切法, 是故名一切法。 須菩提, 譬如人身長大。」 須菩提言。 「世尊, 如來說, 人身長大, 則為非大身, 是名大身。」 「須菩提, 菩薩亦如是。 若作是言, 我當滅度無量衆生, 即不名菩薩。 何以故, 須菩提, 實無有法名為菩薩。 是故, 佛說, 一切法, 無我, 無人, 無衆生, 無壽者。 須菩提, 若菩薩作是言, 我當莊嚴佛土, 是不名菩薩。 何以故, 如來說, 莊嚴佛土者, 即非莊嚴, 是名莊嚴。 須菩提, 若菩薩通達無我, 法者, 如來說, 名眞是菩薩。」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남자 선여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선남자선여인은 이러한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나는 일체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리라. 일체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였지만 실제로는 아무도 열반을 얻은 중생이 없다.』왜냐하면 수보리여! 보살에게 자아가 있다는 관념(我相), 개아가 있다는 관념(人相), 중생이 있다 는 관념(衆生相), 영혼이 있다는 관념(壽者相)이 있다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수보리여!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에 나아가는 자라 할 법이 실제로 없는 까닭이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연등 부처님(燃燈佛) 처소에서 얻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할 법이 있었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기로는 부처님께서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얻으신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이라 할 법이 없습 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여! 여래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은 법이 실제로 없다. 수보리여! 여래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은 법이 있었다면 연등부처님 (燃燈佛)께서 내게 『그대는 내세에 석가모니라는 이름의 부처가 될 것이다.』라고 수기(授記) 하지 않았을 것이다.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은 법이 실제로 없었으므로 연등부처님께서 내게 『그대는 내세에는 반드시 석가모니라는 이름의 부처가 될 것이다.』라고 수기하셨던 것이다. 왜냐하면 여래는 모든 존재의 진실한 모습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여래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었다.』 고 말한다면, 수보리여! 여래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얻은 법이 실제로 없다. 수보리여! 여래가 얻은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에는 진실도 없고(無實) 거짓도 없다 (無虛). 그러므로 여래는 '일체법(一切法)이 모두 불법(佛法)이다.'라고 설한다. 수보리여! 일체법(一切法)이라 말한 것은 일체법이 아닌 까닭에 일체법이라 말한다.” “수보리여! 예컨대 사람의 몸이 매우 큰 것과 같다.”
수보리가 말하였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사람의 몸이 매우 크다는 것은 큰 몸이 아니라고 설하셨으므로 큰 몸이라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여! 보살도 역시 그러하다. 『나는 반드시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리라.』 말한다면 보살이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수보리여! 보살이라 할 만한 법이 실제로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래는 모든 법에 자아도 없고, 개아도 없고, 중생도 없고, 영혼도 없다고 설한 것이다. 수보리여! 보살이『나는 반드시 불국토(佛國土)를 장엄(莊嚴)하리라.』말한다면 이는 보살이라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여래는 불국토를 장엄한다는 것은 장엄하는 것이 아니라고 설하였으므로 장엄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보살이 무아 (無我)의 법에 통달(通達)한다면 여래는 이런 이를 진정한 보살이라 부른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 궁극의 가르침, 무아(無我)
수보리가 똑같은 질문을 2장에서 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이번 질문은 사실 약간 다릅니다. 부처님은 이미 이에 대한 대답을 해주셨는데요. 수보리는 똑같은 질문을 다시 합니다. 약간 다르지만요.
부처님께서 답변하십니다. 정말 대단히 흥미로운 가르침입니다. 수보리가 아주 솔직하게 질문을 합니다. “어떻게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까? 어떻게 이 삶을 살아가야 하고, 어떻게 마음을 다스려야 하나요?” 하고 묻지요. 그러자 부처님은 아주 흥미로운 대답을 하십니다. “너는 모든 중생을 제도하리라는 이러한 큰 원을 세워야 한다. 그러나 네가 모든 중생을 제도했더라도, 사실은 아무도 제도했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신 것입니다. 재밌는 표정을 지으시네요, 여러분 여기에 앉아 있으면 말이죠. 여러분께서 이해를 잘하고 계신지 아니면, 완전히 저기 멀리서 헤매고 계신지 잘 보이거든요. 너무 재밌습니다.
그런데 진짜로 그렇습니다. 그러니까 수보리가 2장에서 질문한 내용과 첫 번째 다른 점은, 2장에서는 “내가 중생을 모든 중생을 제도하지만, 사실은 아무도 제도받은 적이 없다”라고” 하시고, 여기서는[여기서는 [보살과 부처는 사실 똑같은 것입니다만]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지만, 제도라는 것이 따로 없다”라고” 하시는 겁니다. 재미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저번에도 말씀드렸지요. 정말 파격적인 가르침이라고요. 진짜 파격적입니다.
우리는 기분이 좋을 땐 모든 것이 좋아보이고, 좋지 않을 땐 모든 것이 나빠보입니다. 그런데, 현실에선 뭐가 변했나요? 한 개도 변한 게 없습니다. 우리 마음이 변하니까 온 우주가 다 변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아무것도 변한 게 없습니다. 무슨 말씀인지 아시겠어요?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가르침입니다. “모든 것은 다 마음먹기에 달려있다.(一切唯心造)” 모든 것은 다 마음이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또 다르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정말 놀라운 가르침이죠? 부처님은 “모든 중생을 제도하리라고 마음을 먹어라. 그러니, 그렇게 제도하더라도 아무것도 변한 것은 없다. 아무도 제도받은 일이 없다.”라고 하십니다. 공간적으로도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하늘에 해가 매일 뜨지요? 저기 뜰에 보이는 공간이 보이세요? 아침에 와서 한 번 보세요. 태양이 솟아오르면, 저 하늘은 파랗게 보입니다. 지금은 약간 노랗네요. 아니면 하얗거나요. 그런데 해가 지면, 하늘은 노을빛이 되고 결국은 다시 검은색이 됩니다. 그런데 이 공간은 전혀 변하지 않았습니다. 해가 뜨면 공간이 이렇게 보이고, 해가 지면 공간은 어둡게 보입니다. 그런데 이 공간은 단 한 번도 파래지거나, 노래지거나, 하얗거나, 검지 않습니다. 우리 눈에는 변한다고 보이지만, 빛이 생기면 색이 변해보이지만, 사실 공간은 변한 적이 한 번도 없는 것이죠. 우리 눈에는 변해 보이지만, 공간은 변한 적이 없습니다. 완전히 공합니다. 한 번도 변한 적이 없어요.
부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고통과 열반[니르바나]도 사실 본질은 같습니다. 죄나 구원 또한 그렇습니다. 본질은 모두 똑같습니다. 다만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는 것이죠. 모든 것이 다 마음으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정말 대단한 가르침입니다. 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것이 아니고, 깨달음을 ‘얻는’ 것이 아니죠. 저 공간이 파란색을 얻지 않듯이 말이죠. 단지 그렇게 ‘보일 뿐’이죠. “만약 보살이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으면 더 이상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야, 사실은 아누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는 법이 따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니라.”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어떤 특정한 한 가지 법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부처님은 당신의 제자들이 하나의 길, 하나의 법, 하나의 가르침, 하나의 종교, 하나의 철학에 집착하는 것을 걱정하셔서 이렇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의 길이라는 것은 없다.” 단 한 가지의 깨달음만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입니다. 이 점을 아시면, 모든 것이 다 길입니다. 모든 것이 깨달음이죠. 텅 빈 우주와 같이 말입니다. 모든 것은 다 마음먹기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아주 쉬운 가르침입니다.
만약 그래도 잘 이해가 안 가신다면 저기 밖을 쳐다보십시오. 그러면 볼 수 있으실 겁니다. 하늘을 쳐다보시고 스스로 물어보세요. “하늘이 정말 검은색일까?”?” 밝을 때도 물어보세요? “하늘이 정말 파란색일까? 아니야, 햇빛이 나면 밝게 보이고, 햇빛이 사라지면 공간은 어둡게 보이는 거야. 공간은 사실 변하지 않는 거야.” 죄와 열반, 순수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다 그렇습니다. 아주 쉽습니다. 오직 생각이 그런 차별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우리가 이런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가르쳐 주시고 계신 것입니다.
https://yoonhaehwan.tistory.com/34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Part 2
爾時, 須菩提白佛言。 「世尊, 善男子, 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 佛告須菩提。 「善男子, 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者, 當生如是心。 我應滅度一切衆
yoonhaehwan.tistory.com
'☸️ 불교 > 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0) | 2023.01.28 |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Part 2 (0) | 2023.01.27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0) | 2023.01.27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0) | 2023.01.26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Part 2 (0) |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