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告須菩提。於意云何? 如來昔在燃燈佛所, 於法有所得不?
不也, 世尊。 如來在燃燈佛所, 於法實無所得。
須菩提, 於意云何? 菩薩莊嚴佛土不?
不也, 世尊。 何以故, 莊嚴佛土者, 即非莊嚴, 是名莊嚴。
是故,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生清淨心,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而生其心。
須菩提, 譬如有人, 身如須彌山王, 於意云何? 是身爲大不?
須菩提言。 甚大, 世尊。 何以故, 佛說非身, 是名大身。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옛적에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법을 얻은 것이 있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 부처님 처소에서 실제로 법을 얻은 것이 없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보살이 불국토를 아름답게 꾸미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불국토를 아름답게 꾸민다는 것은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아니므로 아름답게 꾸민다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여! 모든 보살 마하살은 이와 같이 깨끗한 마음을 내어야 한다. 형색에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하고, 소리·냄새·맛·감촉·마음의 대상에도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한다. 마땅히 집착 없이 그 마음을 내어야 한다. 수보리여! 어떤 사람의 몸이 산들의 왕 수미산(須 彌山)만큼 크다면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그 몸이 크다고 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매우 큽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부처님께서는 몸 아님을 설하셨으므로 큰 몸이라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불국토의 장엄
자, 아주 쉬운 대화입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은 깨달음이라 말하지 않습니다. 이 전장의 관점에서는, 성자가 되고, 그것을 다시 뛰어넘고, 다시 더 높은 경지에 올라가는 것을 얘기합니다만, 부처님은 10장에서 그런 것이 없다고 설하시는 것입니다. 연등불과 함께 계시던 곳에서도 법에 대해 실로 얻은 바가 없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진정한 깨달음은 그것이 없음을 깨닫는 것입니다. 오직 나의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것입니다. 이것이 깨달음입니다.
이 10장의 내용은 이렇게 쉽고 간단합니다. 보살의 깨달음은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당시 사람들은 누가 보살이 되면 뭔가 특별한 기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었는데, 불국토를 만들 수 있다고 믿는 것 따위 말입니다. 그렇죠?기적을 보여주면 믿겠다고 말이죠. 부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나의 깨달음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보살은 기적을 일으키는 자가 아니다.” 사람들은 기적 같은 것을 바라지만, 부처님은 기적을 바라지 말하고 하신 것입니다. 미국에서 어떤 분이 숭산스님의 법문 중에 질문을 했습니다.
“제가 듣기로 스님은 기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들었는데요. 깨달은 자는 기적을 부릴 수 있다면서요?”
숭산선사님은, “그래요?”
“네, 스님이 기적을 보여주시면 믿겠습니다.”
“그래 보여주지. 내가 방금 전에 밥을 먹었거든. 그래서 힘이 나서 지금 법문을 한다.”
“그게 어떻게 기적입니까?”
숭산스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당신은 매일 이렇게 사는 데 얼마나 기적 같은 일인지 모르는군요. 음식을 먹고 힘이 나서 많은 일을 하잖아. 이게 기적이야.”
“잘 이해가 안 되는데요?”
“넌 누구냐?”
숭산스님은 큰 소리로 질문을 하셨어요.
“헉, 잘 모르겠습니다.”
“기적같이 모두들 모른다고 대답하는구나!”
흥미롭습니다. 부처님의 기적은 뭔가 특별한 것을 따로 일으키는 것이 아닙니다.
계속 말씀하십니다. “보살은 마땅히 이렇게 청정심이 생기며, 마땅히 색에 머물러 마음이 생기지 않으며, 마땅히 소리, 냄새, 맛, 촉감, 법에 머물러 마음이 생기지 않으며,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이 생긴다.” 이 전장에서는 “다시 태어남이 없다.”는 것을 말했는데요. 목적이 다시 환생하지 않는 것이었죠. 상좌부 불교의 목적은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지 않는 것이죠. 태어나서 깨닫고 열반에 들어 다시 환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부처님은 다시 태어나고, 또 태어나고, 계속 다시 태어나서 모든 부처를 섬기는 그런 진정한 보살의 길을 설하시는 것입니다. 그렇게 부처님이 되신 겁니다. “비유컨대 어떤 사람의 신체가 수미산 같다면, 그대 생각은 어떤가? 몸이 크지 않은가?” 수보리가 말합니다. “아주 큽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부처께서 몸이 아닌 것을 이름하여 큰 몸이라 했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깨달음, 진정한 복은 공합니다. 이생, 후생, 무한한 삶 속에서 모든 중생을 위해 살겠다는 그 마음이 진짜 입니다. 이 전장에서의 목적은 불환생[다시 태어나지 않는 것]이었지만, 불교의 목적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 모두 없애버리는 것, 열정도 없애고, 욕망도 없애고, 화도 없애고, 없애고, 없애고, 없애고, 없애고!
그런데 이 10장은 훨씬 위대합니다. 이생, 후생, 그 다음 생, 무한히 계속되는 삶 속에서 모든 중생을 위해 살겠다는 이 다짐을 간직하는 것, 큰 산보다 위대한 것입니다. 큰 산과 같은 몸입니다. 너무 재미있습니다. 이전까지의 요점은 ‘진정한 공덕은 모든 중생에게 아무 기대하는 마음 없이 보시하라. 오직 행동으로 옮기라.’는 것이었죠. 다 끊어 버리는 명상의 단계에서, 절대로 가질 수 없는 보상이나 공덕을 바라지 않는, 무한으로 연속인 이 삶 속에서 큰 서원을 잃지 않는 삶으로 승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서원을 간직하시고요, 여기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https://yoonhaehwan.tistory.com/24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1. 무위복승분(無為福勝分)
須菩提, 如恒河中所有沙數, 如是沙等恒河, 於意云何? 是諸恒河沙, 寧爲多不? 須菩提言。甚多, 世尊。 但諸恒河, 尚多無數, 何況其沙。 須菩提, 我今實言告汝, 若有善男子, 善女人, 以七寶滿爾所
yoonhaehwan.tistory.com
'☸️ 불교 > 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教分) (0) | 2023.01.25 |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1. 무위복승분(無為福勝分) (0) | 2023.01.24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0) | 2023.01.23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0) | 2023.01.23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0) | 202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