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須菩提, 若菩薩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持用布施, 若復有人, 知一切法無我, 得成於忍, 此菩薩勝前菩薩所得功德。 何以故, 須菩提, 以諸菩薩不受福德故。」 須菩提白佛言。 「世尊, 云何菩薩不受福德?」 「須菩提, 菩薩所作福德,不應貪着。 是故說, 不受福德。」
“수보리여! 보살이 항하의 모래 수만큼 세계에 칠보(七寶)를 가득 채워 보시한다고 하자. 또 어떤 사람이 모든 법이 무아(無我)임을 알아 인 욕(忍辱)을 성취한다고 하자. 그러면 이 보살의 공덕은 앞의 보살이 얻은 공덕보다 더 뛰어나다. 수보리여! 모든 보살들은 복덕을 누리지 않기 때문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누리지 않습니까?”
“수보리여! 보살은 지은 복덕에 탐욕을 내거나 집착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복덕을 누리지 않는다고 설한 것이다.”
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 탐착(貪着) 없는 복덕(福德)
‘공덕을 바라는 집착’ 28장입니다. 저번에 어떤 사람을 위해 무슨 일을 하자 그 사람은 “감사합니다.” 라고 했습니다. 그것이 지금은 어디에 있습니까? 콜록~ 그러나 저 소리는 흥미롭습니다. 진정한 공덕은 바로 지금을 경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누군가 당신에게 천 번 감사하다고 해도, 아니면 한 번도! 감사하다고 하지 않아도, 그거 아십니까? 당신은 아무것도 받은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항상 계산을 합니다. 얼마큼 베풀고 얼마나 받았는지, 그런데 아무것도 없습니다. 보이십니까?
그러나 받는 복덕에 집착하지 않는 대신,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를 경험하면 바로 그것이 가장 높은 복덕인 것입니다. 지금 말고 또 어디에서 살 수 있겠습니까? 지금 말고 당신의 존재를 어디서 느낄 수 있겠습니까? 지금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느낄 수 있을 뿐입니다. 간단한 의미 같지만 의미가 깊습니다! 공덕에 대한 집착은 진리가 아닙니다.
https://yoonhaehwan.tistory.com/52
반응형
'☸️ 불교 > 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30. 일합이상분(一合理相分) Part 1 (0) | 2023.02.04 |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29. 위의적정분(法身非相分) (0) | 2023.02.03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Part 2 (0) | 2023.02.02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Part 1 (0) | 2023.02.02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Part 2 (1)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