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須菩提, 若有善男子, 善女人, 初日分以恒河沙等身布施, 中日分復以恒河沙等身布施, 後日分亦以恒河沙等身布施, 如是無量百千萬億劫, 以身布施, 若復有人, 聞此經典, 信心不逆, 其福勝彼。 何況書寫, 受持, 讀誦, 爲人解說。 須菩提, 以要言之, 是經有不可思議, 不可稱量, 無邊功德。 如來爲發大乘者說, 爲發最上乘者說。若有人, 能受持讀誦, 廣爲人說, 如來悉知是人, 悉見是人, 皆得成就不可量, 不可稱, 無有邊, 不可思議功德。如是人等, 則爲荷擔如來阿耨多羅三藐三菩提。 何以故, 須菩提, 若樂小法者, 着我見, 人見, 衆生見, 壽者見, 則於此經不能聽受, 讀誦, 爲人解說。 須菩提, 在在處處, 若有此經, 一切世間, 天, 人, 阿修羅, 所應供養。 當知, 此處即爲是塔, 皆應恭敬, 作禮圍繞, 以諸華香而散其處。
“수보리여! 선남자선여인이 아침나절에 항하의 모래 수만큼 몸을 보시하고 점심나절에 항하의 모래 수만큼 몸을 보시하며 저녁나절에 항하의 모래 수만큼 몸을 보시하여, 이와 같이 한량없는 시간동안 몸을 보시한다고 하자. 또 어떤 사람이 이경의 말씀을 듣고 비방하지 않고 믿는다고 하자. 그러면 이 복은 저 복보다 더 뛰어나다. 하물며 이 경전을 베껴 쓰고 받고 지니고 읽고 외우고 다른 이를 위해 설명해 줌이랴! 수보리여! 간단하게 말하면 이 경에는 생각할 수도 없고 헤아릴 수도 없는 한없는 공덕이 있다. 여래는 대승(大乘)에 나아가는 이를 위해 설하며 최상승(最上乘)에 나아가는 이를 위해 설한다.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받고 지니고 읽고 외워 널리 다른 사람을 위해 설해 준다면 여래는 이 사람들이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며 한없고 생각할 수 없는 공덕을 성취할 것임을 다 알고 다 본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여래의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을 감당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여! 소승법(小乘法)을 좋아하는 자가 자아가 있다는 견해(我相), 개아가 있다는 견해, 중생이 있다는 견해, 영혼이 있다는 견해에 집착한다면 이 경을 듣고 받고 읽고 외우며 다른 사람을 위해 설명해 주지 못하기 때문 이다. 수보리여! 이 경전이 있는 곳은 어디든지 모든 세상의 천신·인간·아수라들에게 공양(供養)을 받을 것이다. 이곳은 바로 탑(塔)이 되리니 모두가 공경하고 예배하고 돌면서 그곳에 여러 가지 꽃과 향을 뿌릴 것임을 알아야 한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 경을 수지하는 공덕
이 전장들의 내용이 다시 반복됩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수보리여!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아침에 몸을 희생하며 많은 보시를 하여도….” 매일 새벽에 일어나서 삼천배를 하고, 모든 재산을 보시하고, 도량[사찰]을 청소하고, 불쌍한 사람들에게 음식을 나눠주고, 수혈을 하는 것 등 이렇게 하는 모든 보시들은 확실히 위대한 공덕입니다. 그런데 만약 이 가르침의 사구게만이라도 깨닫는다면, 그 정수를 말이죠. 이러한 선명한 경험을 한다면, 바로 이 순간의 경험을 얻는다면, 선명하게 보고, 듣고, 냄새 맡고,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면, 이 순간의 이 모든 경험, 그러나 본래 공한 이 경험들을 분명하게 한다면 말이죠. 순수하고 순수하지 않은 것, 가깝고 먼 것, 불교와 기독교, 남자와 여자, 한국과 미국이란 이런 개념에서 벗어난다면, 오히려 단지 스님이 되는 것보다 더 낫다는 말씀입니다.
자 다음 구절은 더 재미있습니다. “수보리여! 요약해서 말하면, 이 경전은 불가사의하고 헤아릴 수 없는 무한한~ 공덕이 있어…” 굉장합니다. 이 경전의 가치는 헤아릴 수 없습니다. 너무 위대합니다. 와~~[하늘을 보며] 이런 위대한 것이 아니라요. 정말 멋진 가르침입니다. 우주와 같이 무한합니다. 그래서 그 양을 헤아릴 수가 없지요. “수보리여! 누구던지 이 가르침을 얻은 자는 여래의 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진 사람이다. 왜냐하면 수보리여! 만약 좁은[결여된] 교리를…” 흥미로운 대목입니다. 제한된 교리를 공부하는 자는… “이건 좋은 거고 저건 나쁜 거야. 이건 순수한 거고, 저건 불순한 것야. 이건 옳고 저건 옳지 않아.” 잘 들어보세요. “제한된 교리를 공부하는 자들은…” ‘제한된’이란 뜻은 “꼭 이렇게 믿어야 어디로 간다.”는 이런 뜻입니다.
이런 교리는 절대적인[우주적인] 가르침이 아닙니다. 그런 작은 상자 안에 갇혀 있으면, 상자 안만 볼 수밖에 없습니다. 스스로를 제한 시켜버리는 것입니다. “만약 제한된 교리를 즐기는 자라면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에 사로잡혀, 이 경전을 듣고 독송하지 못하여 다른 사람을 위해 이 가르침을 펼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불교에는 “이것이지 저건 아니다.”라는 것이 일체 없습니다. 이건 불교적이고, 저건 불교가 아니지~ 이런 행동은 불교인에게 좋은 것이고, 이런 행동은 불교인 행동이 아니지~ 불교는 이런 식으로 가르치지 않습니다. 우주적인진리이기 때문입니다. 우주 모든 것을 포용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아주 조금만 이해를 하셔도, 방금 말한 내용을 아주 조금만 이해를 하셔도, 이것에 대해서 박사학위를 딸 필요 없어요. 그냥 조금이라도 마음에 와 닿는 다면 말이죠.
제한된 종교와 우주적인 종교가 있음을 볼 수 있으면, 선과 악을 초월한, 이 모든 것을 초월한 이런 가르침의 쌀 한 톨 만큼이라도 이해하신다면, “어~ 맞는 말 같아”라고 느끼신다면, 붐! 당신의 공덕은 믿을 수 없을 만큼 큽니다. 왜냐고요? 처음 이 가르침을 듣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지금 아주 조금이라도 가슴에 와 닿으신다면, 아주 조금요. 그 뜻은 이 전 많은 생에 이 가르침을 공부하신 적이 있는 것입니다. 법문을 단 한번만 듣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이 말씀하시길, “흠~ 말이 되긴 된다. 작은 상자 안에 갇혀서 좁은 소견을 가르치는 다른 종교들하고는 뭔가 틀리구나.”라고 느낀다면[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겁니다.], 당신은 전생에 이미 많은 공덕을 쌓은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이미 많은 수행을 하셨던 것입니다. 여러분은 전생에 많은 공덕을 쌓으셨습니다. 사실 그거 자체로는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지만요.
“수보리여! 어느 것이든 이 경전이 있다면 일체 세간의 천, 인, 아수라가 응당 공양할 것이다. 마땅히 알아야 한다. 그곳은 곧 탑으로써 모두 응당 공경하며, 에워싸 절하고, 온갖 꽃과 향을 뿌릴 것이다.” 이 뜻은 성스러운 사찰보다 성지보다 어떤 사리탑이나 파고다보다 또는 팔만대장경 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한 순간 당신이 “아하~무슨 뜻인지 알겠다~ 완전히 이해는 안 되지만…” 하고 느끼는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우리 마음이 “허~ 바로 이거다~”하고 열리는 그곳이 진짜 성지입니다. 세상을 보세요. 이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참 드뭅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들 종교의 작은 상자 안에서 나올 수 있는 지 말입니다. 작은 한국적 생각 상자, 작은 미국적 생각 상자, 우리당 이라는 생각 상자, 또 뭐가 있죠? 진보적인 생각 상자, 보수적인 생각 상자, 누구든지 이 상자 밖으로 나와 이 우주의 진리를 볼 수 있다면, ‘좋고 나쁜’것이 당신을 건드릴 수조차 없습니다. 이렇게 볼 수 있고 행동할 수 있는 당신이 성스러운 존재인 것입니다. 이런 사람이 너무나 드물거든요! 거의 불가능할 정도에요. 누가 이렇게 살고 있습니까? 뉴스를 보세요. 아무도 없습니다. 이 경전은 바로 이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마음이 ‘허~’하고 열리는 그 순간이 참 드문 것이라고요. 개나 고양이 또는 다람쥐나 물고기는 못합니다. 당신이 그렇게 할 수 있으면, 바로 그곳이 존경을 받을 만한 장소가 되어 버립니다. 자 이제 16장으로 넘어갑니다.
https://yoonhaehwan.tistory.com/32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復次, 須菩提。 善男子, 善女人, 受持讀誦此經, 若為人輕賤, 是人先世罪業,應墮惡道, 以今世人輕賤故, 先世罪業則為消滅, 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我念過去無量阿僧祇劫, 於然燈佛
yoonhaehwan.tistory.com
'☸️ 불교 > 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Part 1 (0) | 2023.01.27 |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0) | 2023.01.27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Part 2 (0) | 2023.01.26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Part 1 (0) | 2023.01.26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Part 2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