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불교/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Part 1

by 윤해환 2023. 2. 5.
반응형

살아있는 금강경 : 32

「須菩提, 若有人, 以滿無量阿僧祇世界七寶持用布施, 若有善男子, 善女人, 發菩薩心者, 持於此經, 乃至四句偈等, 受持讀誦, 為人演說, 其福勝彼。 云何為人演說, 不取於相, 如如不動。 何以故, 一切有為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佛說是經已, 長老須菩提及諸比丘, 比丘尼, 優婆塞, 優婆夷, 一切世間, 天, 人, 阿修羅, 聞佛所說, 皆大歡喜, 信受奉行。


“수보리여!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기(阿僧祇) 세계에 칠보(七寶)를 가득 채워 보시한다고 하자. 또 보살의 마음을 낸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經)을 지니되 사구게(四句偈)만이라도 받고 지니고 읽고 외워 다른 사람을 위해 연설(演說) 해 준다고 하자. 그러면 이 복이 저 복보다 더 뛰어나다. 어떻게 남을 위해 설명해 줄 것인가? 설명해 준다는 관념에 집착하지 말고(不取於相) 흔들림 없이(如如不動) 설명해야 한다. 왜냐하면 일체 모든 유위법은, 꿈·허깨비·물거품·그림자·이슬·번개 같으니, 이렇게 관찰할지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다 설하시고 나니, 수보리 장로(須菩提 長老)와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와 모든 세상의 천신·인간·아수라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매우 기뻐하며 믿고 받들어 행하였습니다.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 관념을 떠난 교화

마지막 장 또한 전의 31장과 같이 매우 심플합니다. 심플하다는 말이 쉽다는 뜻이 아니라요. 어렵고 쉽고의 문제가 아니라요. 분명하다는 말입니다. 금강경은 절대로 애매한 또는 복잡한 가르침이 아닙니다. 그러나 분명하지요. 요점, 요점 마다 굉장히 분명하고 명쾌합니다. 32장도 마찬가지로 이 전의 31장 모두와 같이 심플합니다. ‘겉모습은 모두 환상’

정말 아름답지 않습니까~~? 정말 한 편의 영화 같습니다. 이 위대한 가르침의 설법이 끝나자 모두 기뻐하고, 마음에 깊이 가르침을 새기며 머릿속으로는 아니고요. 각자 자기가 왔던 곳으로 떠납니다. 우리도 조금 있다가 그렇게 하겠죠? 자, 부처님은 다시 한번 이 테마를 언급하십니다. 바로 ‘보시’입니다. 보시, 보시, 보시! 제가 처음부터 말씀드렸듯이 보시의 종류는 참 많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좋은 말을 하는 것으로부터 마음을 열어 도와주고 사랑하며, 이렇게 참 많은 종류의 보시가 있답니다. 이런 종류의 모든 보시는 다 훌륭합니다.

그러나 진정으로 가장 위대한 보시는 사구게입니다. 이 경전의 사구게만이라도 깨달으세요. 종이 위에 있는 이 글자들 말고요. 이 네 구절만이라도 확실히 깨달으면, 이미 이 사람은 훨씬 큰 복을 얻을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제가 다녔던 하버드나 예일 대학의 그 어떤 교수들보다 더 많이 말이죠. 어렵지 않습니다. 그 방법은 오직 수행입니다. 머릿속으로는 절대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 책이 나오기 전까지는 구전으로 옮겨져 외우고 그 뜻을 실천으로 옮겼지만요. 어쨌든, 이 금강경의 어떤 네 구절이라도 정말 대단한 것입니다. 커다란 금 덩어리처럼 말이죠. 금강경의 사구게만이라도 깨달아서 실제 생활에 실천하게 되면, 인생 최대의 복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어떤 고통입니까? 모든 망상으로부터 생기는 고통입니다. 그런데 이 금강경의 사구게만으로도 망상의 고리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 어떠한 신경전문의나 책, 어떤 것 보다 훨씬 나을 것입니다! 실제로 깨닫고, 일상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다면 말이죠. “수보리여! 만약 어떤 사람이 우주에 가득 찬 칠보로써 보시하고, 또한 어떤 선남자 선여인 보리심을 일으켜 이 경전을 수지, 또는 사구게를 독송하여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확실히 실행으로 보여준다는 뜻이죠.] 다른 사람을 위해 설명해 준다면.” 기억하시죠? 이 컵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입으로 벙긋벙긋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식으로 ‘컵’을 설명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진정한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아주 심플하고 명확합니다. 말로서 설명하는 것은 완전한 가르침이 아닌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몇 장 전에 이미 말씀하셨지요? 진리는 말로써 설명할 수 없다고요. “이 경전을 수지 또는 사구레게 독송하여 다른 사람을 위해 설명해 준다면, 그 복은 앞의 복보다 클 것이다.” 아, 여기 국제선원에 보시하는 것 빼고요~ “자, 그럼 어떻게 다른 사람을 위해 설명해 주어야 하는가?” 어떤 식으로 설명해 주어야 할까요? 잘 들어보십시오. “바로 상(相)에 집착하지 않고 여여부동(不動)하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경전의 모든 가르침은 사실 여기서 끝납니다. 상에 집착하지 않고 여여부동하게 말이죠. 이게 전부입니다.

무엇을 볼 때는 눈으로 확실히 보고요. 들을 때는 있는 그대로 듣고요. ‘탕!~’ 냄새 맡을 때는 있는 그대로 냄새 맡고요. 혀로 맛을 볼 때는 그대로 맛을 보고요. 몸으로 느낄 때는, (손을 만져 보면서) 아~ 땀이 촉촉이 나네요. 아~ 정말 시원한 손수건이네요. 이것도 진리이고요. 이렇게 상을 취하지 않고 여여부동하게 금강경을 설명하는 것이 제대로 금강경을 설하는 것입니다. 정말 대단하지 않습니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제대로 가르쳐 주잖아요. 어떻게 금강경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 설해야 하냐고요? 순간순간 오직 하면 됩니다! 이게 전부입니다. 이게 바로 금강경의 핵심인 것입니다. 그 어떠한 다른 말도 필요 없습니다.

https://yoonhaehwan.tistory.com/58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Part 2 [完]

「須菩提, 若有人, 以滿無量阿僧祇世界七寶持用布施, 若有善男子, 善女人, 發菩薩心者, 持於此經, 乃至四句偈等, 受持讀誦, 為人演說, 其福勝彼。 云何為人演說, 不取於相, 如如不動。 何以故,

yoonhaehw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