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 오묘한 움직임은 본래 머무르지 않으니, 집착없는 보시(布施)
復次, 須菩提。 菩薩於法, 應無所住, 行於布施。 所謂, 不住色布施, 不住聲, 香, 味, 觸, 法布施。 須菩提, 菩薩應如是布施, 不住於相。 何以故, 若菩薩不住相布施, 其福德不可思量。 須菩提, 於意云何? 東方虛空, 可思量不?
不也, 世尊。
須菩提, 南, 西, 北方, 四維, 上下虛空, 可思量不?
不也, 世尊。
須菩提, 菩薩無住相布施福德, 亦復如是, 不可思量。 須菩提, 菩薩但應如所教住。
“또한 수보리여! 보살은 어떤 대상에도 집착없이 보시(布施)해야 한다. 말하자면 형색에 집착없이 보시해야 하며, 소리·냄새·맛·감촉·마음의 대상에도 집착없이 보시해야 한다. 수보리여! 보살은 이와 같이 보시하되 어떤 대상에 대한 관념에도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보살이 대상에 대한 관념에 집착 없이 보시한다면 그 복덕(福德)은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동쪽 허공을 헤아릴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여! 남서북방, 사이사이, 아래 위 허공을 헤아릴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여! 보살(菩薩)이 대상에 대한 관념에 집착하지 않고 보시(布施)하는 복덕(福德)도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다. 수보리여! 보살은 반드시 가르친 대로 살아야 한다.”
아주 중요합니다. 보살은 아무 상에 집착하지 않고 보살행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게 전부입니다. 헌금도 보시,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도 보시, 누구에게 물 한잔을 주는 것도 보시, ‘잘 지내십니까? 하는 것도 보시, 누군가를 도와주는 것도 보시입니다. 주고받는 모든 것이 보시입니다.
아무 기대를 하지 말고 보시를 하십시오! 이해하시겠습니까? ‘내가 이걸 주면 나중에 뭔가 받겠지.’ ‘그이에게 이걸 주면, 나한테도 오는 게 있겠지.’ 우리는 머릿속으로 명단까지 만듭니다. 다 기록하지요. ‘나는 그들에게 정말 잘해줬는데, 왜 나를 도와주지 않을까?’ 그래서 보시에 집착하면, 문제가 생깁니다. 아무 집착 없이 하셔도 계속 보시할 수 있습니다. 계속 보시할 수 있는 겁니다. 이렇게 아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해야 하는 겁니다.
아주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옛날 중국 양나라에는 아주 유명한 무황제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큰 사찰도 많이 짓고, 스님들에게 옷과 음식 등 많은 것을 보시한 왕이었습니다. 그 시기에 인도에서 아주 유명한 고승이신 달마대사가 중국으로 건너오셨습니다. 왕은 고승을 궁궐로 초청해서 물었습니다. “음~ 유명한 스님이라고 들었다. 달마대사라고…” 달마대사는 불교에 대해서 다 아시는 분이었습니다. 무황제는,
“난 당신을 아는데, 당신은 나를 아는지 모르겠지만, 난 무황제요. 그리고 난 불교를 위해서 참 많은 일을 했지. 난 절도 많이 짓고, 경전도 많이 번역시켰고, 스님들도 많이 도와드리고, 옷과 음식 등등 정말 많이 보시했지. 그럼 나는 얼마나 많은 복을 받았는가?”
“전혀요, 아무 것도 얻지 못하셨습니다.”
그러자 황제는 너무나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난 정말 좋은 일을 많이 했는데, 이것 저것 이것 저것, 이렇게나 많이 했는데, 나도 뭔가 분명히 많은 복을 받을 거야.” 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그러나 달마대사는 이런 생각을 완전히 잘라버렸습니다. 이것은 잘못된 불교이기 때문입니다. 황제는 뭘 얻었느냐고 물었지만, 달마대사는 아무 것도 얻은 것이 없다고 했지요.
황제는 “완전히 미쳤군, 넌 도대체 뭐라고 하는 거냐? 난 선행을 하면 좋은 과보를 얻을 거라고 배웠는데. 그럼 불교의 가장 수승한 가르침이 뭐냐?” 하며 황제는 다시 물었습니다. 달마대사는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신성한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완전하게 공(空)합니다.”
우주가 완전히 텅 비어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바로 불교입니다. 어떤 보상을 기대하지 마십시오. 아무 공덕도 기대하지 마십시오. 오직 공함을 깨달으십시오.
그러자 황제는 완전히, 완전히 성질이 났습니다. “야 도대체 넌 누구냐? 감히 나한데 그런 말을 하다니! 넌 도대체 뭐야?”
“몰라요”
충격입니다. 달마대사는 황제를 3번 충격 받게 만들었어요. 아무 보상도 못 받고, 불교는 우주가 완전히 공하다는 것이고, 공하니깐 너무 좋고, 마지막은 ‘모를 뿐’ 입니다. 아무것도, 진정 아무것도 모를 뿐입니다. 이게 바로 여기서 부처님이 말씀하신 것입니다.
“수보리여, 보살은 마땅히 법에 머무름이 없이 보시를 해야 한다.” “보살은 집착이 없어야 한다.” 아주 중요한 핵심입니다. “형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행하며, 소리, 향기, 맛, 감촉,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행한다.” 무엇을 줄 때는 그냥 주십시오. 다른 사람들한테 친절하게 대하는 것도 보시입니다. 돈으로 하는 보시만 보시가 아닙니다. 그것도 당연히 좋은 보시지만, 돈도 여러 보시 중에 하나일 뿐입니다.
누가 슬퍼하고 있을 때, 옆에 있어주는 것도 보시입니다. 누군가 배고파서 음식을 주는 것도 보시입니다. 누가 목이 마르면 물을 주지요? 그것도 보시입니다. 누가 머릿속이 복잡할 때 도와주는 것도 보시입니다. 하지만, 아무것도 바라지 마십시오. 그들이 당신에게 감사해야 한다고도 기대하지 마시고, 만약 기대를 가지면, 고통을 받습니다.
인생의 가장 큰 고통이 바로 이것입니다. “수보리여, 그래서 보살은 아무 머무름이 없이 보시를 해야 한다. 아무 집착이 없이 말이다. 어떠한 기대도 하지 말고.” 아무 집착과 기대 없이 선행을 하게 되면, 그보다 훨씬 많은 복덕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훨씬 높은 차원의 복덕 말입니다.
‘어떤 것’을 얻는 게 아니라, 모든 것을 다 얻는 것입니다. “수보리여, 동쪽과 여기 저기 사방팔방의 허공의 양을 잴 수가 있겠는가?” “없습니다. 스승님 그 허공의 양을 도저히 잴 수가 없습니다.” “좋다, 수보리여! 보살이 그렇게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은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그렇게 무한한 공간의 양만큼 복덕을 얻는 것입니다. 단, 명심하세요. 그렇게 무한하지만 비어있다는 것을.
달마대사가 황제한테 말한 것처럼요. “난 무엇을 얻었는가?”, “아무것도 얻지 못했습니다.” “그럼 불교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달마대사는 이렇게 말하셨죠. “우주와 같이 완전히 순수한 공함을 깨달으십오.” 라구요. 그 깨달음이 바로 가장 큰 복덕입니다. 가장 위대한 복덕입니다. 주는 것 받는 것 모두 공합니다. 이게 최고의 복덕입니다. 다른 복은 변합니다. 하지만, 이 깨달음의 복덕은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수보리여, 보살은 마땅히 가르침을 받은 대로 머물러야 하느니라.”
https://yoonhaehwan.tistory.com/16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 여래의 참모습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身相見如來不? 不也,世尊。 不可以身相得見如來。何以故, 如來所說身相, 即非身相。 佛告須菩提, 「凡所有相,皆是虛妄。
yoonhaehwan.tistory.com
'☸️ 불교 > 현각스님의 살아있는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Part 1 (0) | 2023.01.22 |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0) | 2023.01.22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第) Part 2 (0) | 2023.01.21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第) Part 1 (0) | 2023.01.21 |
금강경 한글 해석/해설: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Part 2 (0) | 2023.01.21 |